본문 바로가기
도서

우울할 땐 뇌 과학 도서 줄거리, 저자소개, 느낀점

by 명이2 2023. 2. 13.

감정이 있어야 할 자리가 텅 빈 기분, 반복되는 부정적인 생각, 수치스럽고 외롭고 절망적인 느낌, 주변 사람들의 차가운 시선까지 도대체 나는 왜 이렇게 생겨먹은 걸까? 에 대한 고민을 살펴볼 수 있다.

우울할 땐 뇌 과학 도서 줄거리

우울증을 흔히 마음의 질환이라고 말하는 데, 그 ‘마음’의 실체와 정체는 무엇일까? 인간의 ‘마음’은 ‘뇌가 작동하는 방식’에 따라 빚어진다. ‘마음에 질환이 있다’는 말은 결국 ‘뇌가 어떤 정신질환을 발병할 조건을 갖췄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마음의 문제를 객관적이면서도 논리적인 방법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로 보여준다!

UCLA에서 뇌 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고, 15년간 뇌 과학을 도구 삼아 우울증만 연구해온 우울증 덕후 앨릭스 코브 박사가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집대성한 『우울할 땐 뇌 과학』. 뇌 과학(신경과학)이라는 최첨단 과학을 활용해 우울증이 어떻게 시작되는지, 발병의 원인은 무엇인지, 증상 하나하나의 구체적인 근거는 무엇인지, 그에 따른 폐해는 무엇인지, 그리고 결국은 우울증으로 치닫는 뇌 회로를 다시 돌려세울 방법이 무엇인지 등을 세심하면서도 낱낱이 살펴보는 과학적인 우울증 책이다.

일단 발병하면 최후 증상이 자살로 끝날 가능성이 높아 위험하고 파괴적인 정신질환, 우울증. 국내에만 성인 535만 명, 즉 8명 중 1명꼴로 발병해 감기처럼 흔한 병으로 일컬어지는 우울증에 대해 우리는 무엇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우울증을 흔히 마음의 질환이라고 말하는 데, 그 마음의 실체와 정체는 무엇일까? 저자는 이 책에서 최신 뇌 과학의 임상 실험과 뇌에 대한 객관적 연구를 바탕으로 우울증을 본격적으로 다루며 거의 모든 페이지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에두르지 않고 바로 알려준다.

저자소개

엘릭스 코브_ 세계적인 신경뇌과학자 이자 우울증 전문가이다. 15년 넘게 우울증을 '신경과학'의 품에서 연구해 왔다. 브라운 대학교에서 뇌과학을 전공했으며,  UCLA에서 뇌 과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우울증을 주제로 박사 학위 논문을 썼으며 우울증과 뇌 과학에 관한 과학 논문과 기사를 다수 발표해 왔다. 현재  UCLA 정신의학과에서 뇌 과학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있으며 생명공학 기업들에 과학 컨설턴트로도 활동 중이며 <사이콜로지 투데이>에 뇌의 성향이 인간의 삶을 어떻게 파괴할 수 있는지를 주제로 인기 칼럼을 기고 중이다. 

 

느낀점

지나치게 생각을 곱씹거나 마음속으로 끊임없이 자신을 깎아내리는 사람, 심각한 우울증에 빠져 있는 사람뿐 아니라 뇌 지식을 활용해 삶을 좀 더 잘 이해하고 즐기고 싶은 사람이라면 이 책이 좋은 선물이 될 것이다. 

이 책은 첨단 과학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아주 단순 명료하게 서술되었다. 또 현재까지 나와 있는 연구 성과들을 집대성해 일상에서 손쉽게 적용 가능한 도구로 해석해 냈는데 그 참신함이 내게도 큰 즐거움을 안겨주었다. 나는 뇌에 중점을 둔 신경심리학자이자 심리치료사, 정신 건강 분야의 교육자인지라 이 책 내용이 이미 너무나 익숙한 것이었음에도 책을 읽으며 많은 것 새롭게 배우고 여러 번 웃을 수 있었다. 정보와 함께 재미도 가득한 책이다.

 

- 추천의 말 중에서

 

일본에서는 한 젊은이가 고정 자전거에 앉아 페달을 밟는 동안 과학자들이 적외선 센서로 그의 뇌 혈류를 관찰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겨우 15분 동안 자전거를 탔을 뿐인데도 감정 조절을 담당하는 뇌 회로의 활동량과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의 수치가 높아졌다. 

피츠 버그의 한 병원에서는 척추 수술 후 회복 중이 환자들이 머무는 각 병실에 일조량이 얼마나 되는지 측정했다. 의사들은 햇빛이 환한 병실로 옮긴 환자들이 갑자기 통증에 대한 내성이 높아져 진통제를 덜 요구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위의 연구들을 보면 우울증의 신경과학이 어떤 깨달음을 주는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신경과학은 뇌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우리의 생각과 감정, 행위의 생물학적 근거 등을 연구한다. 지난 몇 십 년간의 연구로 우울증을 초래하는 뇌 회로를 바라보는 시각이 엄청나게 달려졌고 그에 따라 우울증에 대처하는 방법도 훨씬 많이 알게 되었다.

 

- 머리말 중에서 

반응형

댓글